[중소기업투데이 이형근 기자] 환경부가 전기차를 42만대 보급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하는 한편 수소차 공급도 발표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투트랙 전략은 소비자에게 혼선만 일으켜 전기차 업계에서는 보급 전략에 혼선을 일으키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전기차는 제주에서 출발해 내륙으로 진출한 상태로 제주에서 민간 충전 사업을 시작한 장수백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이사와 전기차와 서비스 산업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먼저 제주도는 ‘무탄소섬’을 내세워 전기차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만큼 그곳의 환경에 대해 물었다. 장 대표는 “내륙보다 영업 환경이 3~4년 앞서 있다”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곳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 곳에도 대기업이 진출해 있다는 것도 같이 설명했다.
이어 그에게 최근 전기차 보급 정책에 물었다. 그는 “환경부의 전기차 42만대 보급 전략에 대해 잘못 짜여진 것이 아닌가” 라는 의구심부터 내세웠다. 이 근거는 “현재 전기차 생태계는 보조금에 의존 하는 상황으로 오는 2020년부터 자생 생태계로 가야 하는데 대부분 중소기업인 전기차 서비스회사가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이라며 “지난해 6월경 ‘전기차 충전 방해금지법’이 발효되면서 충전기 인프라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게 됐다”고 실태를 설명했다.
장 이사는 “처음 구상은 전기차가 확산되면서 경영이 어려운 주유소가 전기차 충전소로 전환하고 인프라 확대도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것을 예상했던 것 같다”면서 “하지만 현실은 영업중인 전기차 충전소도 운영이 어려운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루 15시간 영업하는 완속충전소에서 적자를 안 보려면 충전기당 차 4대가 와야 한다”면서 “현재 우리나라에선 이것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여기에 전기 가격이 현재 kw당 173원에서 앞으로 313원까지 인상되고 선정과 준공기준까지 까다로워지면 현재 8개인 서비스사는 매각이나 사업 포기로 가고 그 자리에 누가 들어오겠냐? 라고 물었다.
장 이사 “8개사는 모두 중소기업으로 프랜차이즈나 마일리지 제공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고 10만여명에 불과한 사용자를 놓고 과당 경쟁을 벌일 수 밖에 없다”고 답답해 했다. 그는 이대로 가면 공멸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그는 “해외 사례를 보면 충분히 사업을 할 수 있는게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차지 포인트사의 경우를 보면 충분히 볼 수 있다”면서 “마이크로 그리드, 상업용 주차, 소매 및 숙박업, 부동산 개발업, 스마트 충전플랫폼을 이용한 홍보 및 광고 제안 및 구축 운영 솔루션 제공” 등을 예로 들었다.
실제로 GS칼텍스는 8곳에 전기차와 일반 주유차량을 모두 쓸 수 있는 곳을 설치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기차 서비스 회사들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만큼 전기차와 함께 성장하도록 정부에서 현명한 정책 지원을 바란다”면서 “정책이 수립된 다음 예산지원도 들어온다면 서비스 기업에겐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이라고 마무리 지었다.
중소기업투데이, 2019.08.06, 기사 원문 보기
이형근 기자, octber4@gmail.com
[인터뷰] 장수백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이사 중소기업의 기회를 막는 각종 규제 손봐야
[중소기업투데이 이형근 기자] 환경부가 전기차를 42만대 보급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하는 한편 수소차 공급도 발표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투트랙 전략은 소비자에게 혼선만 일으켜 전기차 업계에서는 보급 전략에 혼선을 일으키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전기차는 제주에서 출발해 내륙으로 진출한 상태로 제주에서 민간 충전 사업을 시작한 장수백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이사와 전기차와 서비스 산업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먼저 제주도는 ‘무탄소섬’을 내세워 전기차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만큼 그곳의 환경에 대해 물었다. 장 대표는 “내륙보다 영업 환경이 3~4년 앞서 있다”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곳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 곳에도 대기업이 진출해 있다는 것도 같이 설명했다.
이어 그에게 최근 전기차 보급 정책에 물었다. 그는 “환경부의 전기차 42만대 보급 전략에 대해 잘못 짜여진 것이 아닌가” 라는 의구심부터 내세웠다. 이 근거는 “현재 전기차 생태계는 보조금에 의존 하는 상황으로 오는 2020년부터 자생 생태계로 가야 하는데 대부분 중소기업인 전기차 서비스회사가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이라며 “지난해 6월경 ‘전기차 충전 방해금지법’이 발효되면서 충전기 인프라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게 됐다”고 실태를 설명했다.
장 이사는 “처음 구상은 전기차가 확산되면서 경영이 어려운 주유소가 전기차 충전소로 전환하고 인프라 확대도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것을 예상했던 것 같다”면서 “하지만 현실은 영업중인 전기차 충전소도 운영이 어려운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하루 15시간 영업하는 완속충전소에서 적자를 안 보려면 충전기당 차 4대가 와야 한다”면서 “현재 우리나라에선 이것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여기에 전기 가격이 현재 kw당 173원에서 앞으로 313원까지 인상되고 선정과 준공기준까지 까다로워지면 현재 8개인 서비스사는 매각이나 사업 포기로 가고 그 자리에 누가 들어오겠냐? 라고 물었다.
장 이사 “8개사는 모두 중소기업으로 프랜차이즈나 마일리지 제공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고 10만여명에 불과한 사용자를 놓고 과당 경쟁을 벌일 수 밖에 없다”고 답답해 했다. 그는 이대로 가면 공멸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그는 “해외 사례를 보면 충분히 사업을 할 수 있는게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유럽연합과 미국의 차지 포인트사의 경우를 보면 충분히 볼 수 있다”면서 “마이크로 그리드, 상업용 주차, 소매 및 숙박업, 부동산 개발업, 스마트 충전플랫폼을 이용한 홍보 및 광고 제안 및 구축 운영 솔루션 제공” 등을 예로 들었다.
실제로 GS칼텍스는 8곳에 전기차와 일반 주유차량을 모두 쓸 수 있는 곳을 설치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기차 서비스 회사들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만큼 전기차와 함께 성장하도록 정부에서 현명한 정책 지원을 바란다”면서 “정책이 수립된 다음 예산지원도 들어온다면 서비스 기업에겐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이라고 마무리 지었다.